후안의서재 http://egloos.zum.com/traductor/v/2927429 

 

 

□ 가지치기 ― 적용 대상 수종 [교재 252쪽]

⑴ 침엽수
ㆍ 소나무, 잣나무, 낙엽송, 전나무, 해송, 삼나무, 편백 등 침엽수는 일반적으로 상처 유합(癒合)이 잘 된다.
ㆍ 특히 낙엽송은 극양수(極陽樹)로서 울폐도(鬱閉度)가 높은 임분에서 자연낙지(自然落枝)가 잘 되기 때문에 가지치기를 생략할 수 있다.

⑵ 활엽수
ㆍ 일반적으로 상처의 유합이 잘 안 되고 썩기 쉽기 때문에 직경 5㎝ 이상의 가지는 원칙적으로 자르지 않는다.
ㆍ 참나무류(신갈나무 제외), 포플러나무류는 으뜸가지(力枝) 이하의 가지만 잘라 준다.


□ 천연갱신(天然更新) [교재 303, 310쪽]

천연갱신: 후계림을 성림시킴에 있어서 자연적으로 낙하되어 산포(散布)된 종자가 발아하는 천연하종(天然下種), 또는 근주(움), 뿌리, 지하경 등에서 나오는 맹아(萌芽)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등 임목의 번식력과 재생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새 임분을 성립시키는 것을 말한다. 보안림이나 휴양림 조성에 적합한 방법
* 인공갱신과 비교되는 개념

ㆍ 천연갱신이 유리한 수종

침엽수종: 소나무, 곰솔, 리기다소나무, 잣나무, 전나무,
  가문비나무 등
활엽수종: 상수리나무, 그밖의 참나무류, 아까시나무, 오리나무 등


문제: 종자의 비산력이 커서 1ha에 15~30본 정도로 골고루 산재시켜 모수작업에 의한 천연갱신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종은?

가. 굴참나무  나. 잣나무
다. 소나무  라. 너도밤나무

정답 ☞ 다


□ 맹아력 [교재 317쪽]

⑴ 맹아력이 강해 맹아로 갱신이 가능한 수종: 상수리나무ㆍ신갈나무 등 참나무류, 서어나무, 물푸레나무, 아까시나무, 오리나무류, 벚나무류, 포플러류, 싸리나무류, 피나무류

⑵ 맹아력이 약한 수종: 자작나무

문제: 측면맹아의 발생이 어려운 나무는? 〈2011년 제4회〉

가. 신갈나무  나. 당단풍나무
다. 물푸레나무  라. 전나무

정답 ☞ 라


□ 중림작업(中林作業) [교재 319쪽]

⑴ 의미
ㆍ 한 구역안에서 용재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교림작업과 연료재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왜림작업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다.
ㆍ 임형은 상ㆍ하목의 두 층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상목은 실생묘로 육성하는 침엽수종으로, 하목은 맹아로 갱신하는 활엽수종으로 한다.
ㆍ 상목(上木): 용재림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교림. 택벌식으로 벌채된다.
ㆍ 하목(下木): 연료재(신탄재)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왜림. 윤벌기로 개벌된다.

⑵ 작업 방법
ㆍ 수종 선정: 하목은 비교적 응달에 견디는 참나무류, 서어나무류, 단풍나무류, 오리나무 등을 선택한다. 상목은 양성의 나무로서 줄기에 부정아가 발생하지 않는 느티나무류, 소나무류, 전나무류, 낙엽송 등을 선택한다.
ㆍ 중림의 구성: 하목이 한 층으로 되고 상목은 몇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. 하목의 윤벌기는 보통 10~20년. 상목의 윤벌기는 하목의 2~4배로 되어 있다. 벌채는 택벌형으로 하목에 피해를 주지 않게 해야 한다.

⑶ 장점
ㆍ 상목은 산재해 있으나 하목은 벌채된 뒤 쉽게 울폐하여 임지를 보호한다.
ㆍ 지력을 보호하는 힘이 왜림작업에 비해 크다.
ㆍ 임업자본이 적어도 경영할 수 있는 농가 경영림으로 적당하다.
ㆍ 용재와 땔감을 한 임지에서 생산할 수 있다.

⑷ 단점
ㆍ 경영에 기술과 숙련을 필요로 한다.
ㆍ 하목은 상목의 피압(被壓)으로 맹아발생과 성장이 억제된다.

문제: 중림작업에서 하목으로 가장 적당하지 못한 수종은 어느 것인가?

가. 참나무류  나. 서어나무류
다. 느릅나무  라. 전나무

정답 ☞ 라


□ 수목의 내화력 [교재 347~48쪽]

⑴ 양수가 음수보다 임분의 폐쇄가 덜하고 하층식생도 많으며, 일조량도 많아 건조되기 쉽고 위험성도 높다.

⑵ 침엽수는 수지(樹脂, 예: 소나무의 송진)를 갖고 있어 발열량이 많기 때문에 산불피해 시 고사하거나 재질의 손상을 크게 받는다.

⑶ 활엽수 중에는 상록수가 낙엽수보다 불에 강하다. 낙엽활엽수 중 굴참나무, 상수리나무 등은 코르크층이 있는 두꺼운 수피를 가지고 있어 불에 강하고 특히 산불 피해 후 맹아력이 강하다.

⑷ 내화력이 강한 침엽수: 은행나무, 낙엽송, 분비나무, 가문비나무, 개비자나무, 대왕송

⑸ 내화력이 강한 상록활엽수: 황벽나무, 동백나무, 사철나무, 회양목, 아왜나무, 굴거리나무, 후피향나무, 붓순

⑹ 내화력이 강한 낙엽활엽수: 굴참나무, 상수리나무, 고로쇠나무, 피나무, 고광나무, 가중나무, 참나무, 사시나무, 음나무

⑺ 내화력이 약한 침엽수: 소나무, 해송, 삼나무, 편백

⑻ 내화력이 약한 상록활엽수: 녹나무, 구실잣밤나무

⑼ 내화력이 약한 낙엽활엽수: 아까시나무, 벚나무, 능수버들, 벽오동나무, 참죽나무, 조릿대

문제: 다음 중 방화림(防火林) 조성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? 〈2011년 제4회〉

가. 소나무  나. 삼나무
다. 갈참나무  라. 녹나무

정답 ☞ 다


□ 참나무시들음병 [교재 438~40쪽]

⑴ 기주: 참나무류(주로 신갈나무), 서어나무 등

⑵ 병징: 병원균(진균)에 감염되면 참나무류가 7월말경부터 빠르게 시들면서 빨갛게 말라 죽는다. 고사목은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아 경관을 해친다. 매개충은 광릉긴나무좀. 매개충의 성충은 가슴높이지름(흉부직경)이 큰 나무의 줄기와 가지에 주로 침입하여 가해한다. 5월중순부터 균낭 속에 병원균을 지니고 참나무에 침입하여 병원균을 퍼뜨려 감염시킨다. 광릉긴나무좀의 성충은 암갈색이다. 암컷은 약 4.4㎜, 수컷은 약 4.2㎜다.
ㆍ 외부증상: 7월말경에 줄기(특히 아래부위)에 매개충이 침입한 구멍(직경 1㎜ 정도)이 많이 있고, 침입한 구멍 부위 및 뿌리와 접한 땅 위에는 목분 배출물이 많이 나와 있다.

⑶ 피해정도: 주로 신갈나무가 피해를 받지만 졸참나무, 갈참나무도 피해를 받는다. 굴참나무, 상수리나무에서도 간혹 발견된다. 해발 100~600m 범위의 활엽수림 지역에서 주로 발생한다. 주로 가슴높이지름이 20㎝ 이상의 큰 나무가 피해를 받고 있다. 병원균을 지닌 매개충이 생입목에 침입하여 변재부에서 곰팡이를 감염시키면 곰팡이가 침입갱도를 따라 많이 퍼진다. 퍼진 곰팡이가 도관을 막아 수분과 양분의 상승을 차단함으로써 빠르게 시들면서 죽게 된다.

⑷ 방제법: 벌채훈증, 소각, 약제 주입, 살충제 살포 등의 방법이 있다.
ㆍ 벌채훈증: 매개충이 우화(羽化)하기 전인 4월말까지 매개충의 피해를 받은 줄기 및 가지를 1m 길이로 잘라 1㎥으로 쌓은 후, 메탐소디움을 1㎥당 1l를 골고루 살포하고 비닐로 완전히 밀봉하여 훈증처리한다.
ㆍ 벌근목은 재적을 환산하여 1l/㎥의 약량으로 처리한다. 뿌리가 노출된 부위는 흙으로 덮어서 완전히 밀폐가 되도록 주의하며 비닐에 상처가 없도록 관리한다.
ㆍ 소각: 침입공이 있는 피해 부위의 줄기ㆍ가지만을 0.5m 내외로 잘라 미리 파놓은 웅덩이 또는 옹기가마에 넣고 안전하게 소각한다.
ㆍ 약제 주입: 침입공 밖에 배출물이 붙어 돌출된 부위를 손끝으로 떨어뜨린 후 침입공에 메프유제 100배액을 넣은 주사기 침을 살짝 밀어 넣어 안쪽에서부터 조금씩 빼내면서 밖으로 한 방울 흐를 때까지 천천히 주입한다.
ㆍ 살충제 살포: 성충 우화 최성기인 6월 중순(우화시기 5월 중순~9월 하순)을 전후하여 2주 간격으로 3회 정도 메프유제 200배액을 감염 대상목의 줄기에 약성분이 오래 잔류하도록 전착제를 적당히 첨가하여 나무줄기에 살포한다.

문제: 피해목을 벌채한 후 약제 훈증처리의 방제가 필요한 수병은? 〈2011년 제4회〉

가. 호두나무탄저병 나. 밤나무줄기마름병
다. 참나무시들음병 라. 잣나무털녹병

정답 ☞ 다


□ 임업 작업도구의 관리 [교재 667~68쪽]

⑴ 산림작업용 도구 손잡이의 길이는 작업자의 팔 길이 정도가 가장 적당하다.

⑵ 작업도구 손잡이(자루) 용재에 알맞은 수종은 박달나무, 들메나무, 물푸레나무, 가시나무, 단풍나무, 호두나무, 가래나무, 느티나무, 참나무류 등 탄력이 좋고 목질섬유(섬유장)가 길고 질긴 활엽수가 적당하다.

문제: 산림작업용 도구 자루의 길이는 얼마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?

가. 작업자의 팔 길이 나. 작업자의 팔 길이의 2배
다. 도구 작업날의 2배 라. 도구 날의 길이 정도

정답 ☞ 가

문제: 다음 중 도구의 자루로서 사용되는 목재의 가치가 없는 것은?
가. 침엽수 목재가 좋다.
나. 탄력이 좋은 활엽수 목재
다. 섬유장이 긴 것
라. 부드럽고 섬유장이 질긴 것

정답 ☞ 가

문제: 다음 중 도끼자루 제작에 가장 적합한 수종으로 묶여진 것은?

가. 소나무, 호두나무, 가래나무
나. 호두나무, 가래나무, 물푸레나무
다. 가래나무, 물푸레나무, 전나무
라. 물푸레나무, 소나무, 전나무

정답 ☞ 나

문제: 도끼자루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?

가. 소나무류  나. 잣나무류
다. 참나무류  라. 포플러류

정답 ☞ 다

문제: 벌목작업에서 쐐기는 주로 벌도방향의 결정과 안전작업을 위해 사용되는데 목재 쐐기를 만드는 데 적당한 수종이 아닌 것은?

가. 아까시나무  나. 단풍나무
다. 참나무류  라. 리기다소나무

정답 ☞ 라


□ 손톱 톱니의 젖힘 정도 [교재 670쪽]

⑴ 나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손톱의 톱니를 젖혀 준다. 침엽수는 활엽수에 비해 목섬유가 연하고 마찰이 크므로 많이 젖혀 준다. 톱니 젖힘은 톱니뿌리선으로부터 2/3 지점을 중심으로 한다.

⑵ 삼각형 톱니: 침엽수 0.3~0.5㎜, 활엽수 0.2~0.3㎜ 정도로 젖혀 준다.

⑶ 이리형 톱니: 침엽수 0.4㎜, 활엽수나 얼어 있는 나무 0.3㎜ 정도로 젖혀 준다.

문제: 삼각형 톱니를 가진 톱날 연마 시 바른 톱날 젖힘의 크기는 얼마인가?

가. 침엽수 0.3~0.5㎜, 활엽수 0.2~0.3㎜
나. 침엽수 0.2~0.3㎜, 활엽수 0.3~0.5㎜
다. 침엽수 0.3~0.4㎜, 활엽수 0.4~0.6㎜
라. 침엽수 0.4~0.6㎜, 활엽수 0.3~0.4㎜

정답 ☞ 가

 

'원예과 > 기능사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접목법  (0) 2015.04.07
조림학 (출처: 학문명백과 : 농수해양)  (0) 2015.04.07
산림기능사  (0) 2015.04.07
산림기사 필기시험 - 조림학 정리  (0) 2015.04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