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종자생산학
1. 종자의 발달
(1) 종자의 생성
1) 꽃가루의 형성
소포자 : 꽃밥속의 화분모세포(2n) -감수분열→ 꽃가루4분자(n)→꽃가루(n)→발아→ 생식핵, 영양핵
※ 화분의 형성 : 꽃밥
2) 배낭의 형성(피자식물)
대포자 : 배낭모세포 - (감수분열) → 4개의 배낭세포(n) - 동형분열 → n(4분자 중 3개 퇴화) → 1개만 살아남아서 → 3번의 핵분열 → 난세포(n), 조세포(2n),
극핵(2n), 반족세포(3n)
※ 배낭 형성 : 밑씨
3) 중복수정
제1웅핵(n) + 난세포(n) → 배(2n)
제2웅행(n) + 극핵(2n) → 배유(3n)
(2) 종자의 분류
1) 형태의 의한 분류
보통 종자라고 불리는 것은 형태의 차이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.
① 식물학상의 종자 : 두류, 평지(유채), 담배, 아마, 목화, 참깨 등. ⇒ 쌍떡잎 식물
② 식물학상의 과실 ⇒ 외떡잎 식물
㉠ 과실이 나출된 것 : 밀, 쌀보리, 옥수수, 메밀, 호프(hop), 삼(大麻), 차조기(소엽), 박하, 제충국 등.
㉡ 과실의 외측이 내영⦁외영(껍질)에 싸여 있는 것 : 벼, 겉보리, 귀리 등.
㉢ 과실의 내과피와 그 내용물을 이용하는 것 : 복숭아, 자두, 앵두 등.
③ 종자와 과실 : 농업에서 종자라고 하는 것 중에는 식물학상의 종자와 과실이 있는데, 배주(밑씨)가 수정하여 자란 것을 ‘종자’라고 하고,
수정 후 자방(씨방)과 그 관련기관이 비대한 것을 ‘과실’이라 한다.
2) 배유의 유무에 의한 분류
① 배유종자 : 배와 배유의 두 부분으로 형성되는 벼, 보리, 옥수수 등의 화본과 종자, 쌍떡잎식물(뽕나무)
② 무배유종자 : 배유가 흡수하여 저장 양분이 자엽에 저장되며, 배는 유아·배축·유근의 세부분으로 형성되는 콩, 팥, 완두,앨펄퍼, 클로버, 등의 콩과 종자
3) 저장물질에 의한 분류
① 전분종자 : 미곡, 맥류, 잡곡 등과 같은 화곡류
② 지방종자 : 참깨, 들깨 등과 같은 작물
③ 단백질종자 : 콩과 작물
4)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의 분류
① 눈 : 마, 포도나무, 꽃의 아삽 등.
② 잎 : 베고니아 등.
③ 줄기
㉠ 지상경 또는 지주 : 사탕수수, 포도나무, 사과나무, 귤나무, 모시풀 등.
㉡ 비늘줄기(인경) : 나리(백합), 파, 마늘 등.
㉢ 땅속줄기(지하경) : 생강, 연, 박하, 호프 등.
㉣ 덩이줄기(괴경) : 감자, 토란, 뚱딴지 등.
㉤ 알줄기(구경) : 글라디올러스 등.
㉥ 흡지 : 박하, 모시풀 등.
④ 뿌리
㉠ 지근 : 닥나무, 고사리, 부추 등.
㉡ 덩이뿌리(괴근) : 다알리아, 고구마, 마 등.
(4) 크세니아 : 모체의 일부분인 배젖에 아비의 영향이 직접 당대에 나타나는 것
(5) 메타크세니아 : 정핵이 직접 관여하지 않는 모체의 일부분에 꽃가루의 영향이 직접 나타나는 것(맛,크기,색깔)
(6) 춘화처리(vernalization)
① 춘화처리(vernalization)의 목적 : 개화유도, 비교적 생육초기에 처리
② seed vernalization : 발아당시의 유(幼)식물에 처리한 저온의 효과가 뚜렷한 형(추파성맥류)
③ 춘화처리에 암흑이 필요한 것 : 고온버널리제이션, 비교적 생육초기에 처리
④ 저온 vernalization의 대치효과 위해 : 지베렐린 처리
⑤ vernalin(버널린) : 화성호르몬인 플로리겐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이동성 전구물질
저온 - 춘화반응 - 버널린(vernalin) - 플로리겐 - 개화
양배추, 양파의 추대를 지배하는 요인 |
저온과 식물체의 크기(녹체춘화처리), 2년생 초본식물 |
(7) 일장효과
- 발육상 : 생육의 단계적 양상
- 상적발육 : 순차적인 여러 발육상을 거쳐 발육이 완성되는 것
- 촉성재배 : 딸기(겨울철 조기 출하 위해 여름철 딸기모 냉장하여 저온유도)
- auxin : 장일식물(화성촉진), 단일식물(억제)
- 발아전 화분 2핵성 : 가지
- 발아시 보통 유근이 유아(幼芽)보다 먼저 나온다
- 배꼽((hilum) = 제 : 동화산물의 전류의 통로
- 종자내 주요 저장 탄수화물 : amylose amylopectin
- cell wall 구성성분 : hemicellulose
- 화아분화 촉진에 가장 영향이 큰 것 : 온도, 일장
- 일장효과의 후작용(일장유도) : 일장처리의 영향이 뒤에까지 계속되어 화아분화 또는 개화를 유도하는 것
- 식물체의 일장 감응부위 : 생장점
- 중성식물 : 한계일장이 없고 넓은 범위의 일장조건에서 개화하는 식물 (고추,토마토,당근,강낭콩,셀러리,조생종 벼, 메밀)
- 단일발육조장 : 고구마의 덩이뿌리, 파의 비대근, 감자의 덩이줄기, 다알리아의 알뿌리
- 일장과 성의 발현
▷ 모시풀 : 8시간 이하 단일 → 완전 암컷화
▷ 삼 : 단일 → 성전환
▷콩 : 결협은 단일에서 조장
2. 종자관리
(1) 우량종자의 구비조건
1) 외적조건 : 순도, 크기, 중량, 색택, 냄새, 수분함량
2) 내적조건 : 유전성, 발아력, 종자전염병충해
(2) 수확
곡물류(화곡류,두류) : 유숙기 > 호숙기 > 황숙기 > 완숙기 > 고숙기 (황숙기가 수확적기)
채소류(십자화과 작물) : 백숙기 > 녹숙기 > 갈숙기 > 고숙기 (갈숙기가 수확적기)
(3) 선별(선종)
① 용적에 의한 선별 : 맥류·두류 등 종자를 체로 쳐서 소립종자 제적
② 중량에 의한 선별 : 키·풍구·선풍기 등을 사용하여 가볍고 작은 것을 날려버림
③ 육안에 의한 선별 : spatula를 사용하여 불량한 종자·협잡물 제거
④ 비중에 의한 선별 : 용액의 비중에 의해 가라앉는 충실한 종자만 가려냄
(4) 종자전염병
① 도열병 : piricularia oryzae에 의해 전염
② 모썩음병 : Achlya oryzae 에 의해 유백색의 면모가 방사상으로 나타남
③ 깨씨무늬병 : Cochliobolus miyabeanus에 의해 주위에 뚜렷한 농갈색의 작은 반점
④ 키다리병 : Gibberlla fujikuroi의 기생으로 종피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균총이 생긴다
⑤ 벼알마름병 : 담황색을 띤 담황갈색의 띠무늬가 생긴다
⑥ 오이세균성 점무늬병 : 토양 및 종자 전염
⑦ 덩굴쪼김병 (만할병) : 내병성의 접목 재배로 막을 수 있다
⑧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: TMV의 종자 전염으로 외종피와 내종피에 병원체 존재
⑨ 종자 전염 - 시들음병, 탄저병, 위황병
감자 바이러스 병 매개(복숭아 혹진딧물), 가지(점박이응애), 무,배추(비단노린재,민달팽이), 고추(담배나방) |
(5) 방제
① 종자소독 :
㉠ 화학적소독(부산30유제․벤레이트 티 ․호마이수화제,vitavax)
㉡ 물리적소독(냉수온탕침법, 욕탕침법, 온탕침법(고구마의 검은무늬병은 45℃의 Uspulun 800배액에 씨고구마를 30분 담가서 소독))
㉢ 기피제처리, 종자의 경화처리
(6) 종자의 검정
1) 보증종자 : 당해 품종의 진위성 및 당해 품종의 종자의 품질이 보증된 채종단계별 종자
2) 종자검사
① 순도검정 : 실내에서 종자의 발아율, 순결도, 병충해의 유무검정
② 차대검정 : 종자를 포장에 재배, 품종등록사항과의 상이여부와 검정기관이 정하는 특성을 검정한다
3) 출원품종 검사기준 :
① 구별성(Distinctness) : 품종출원일 이전까지 일반인에게 알려져 있는 품종과 명확하게 구별되는 경우
② 균일성(Uniformity) : 동일한 번식 단계에 속하는 식물체가 갖추어야할 품종 보호 요건
③ 안정성(Stability) : 반복적인 증식의 단계에 속하는 식물체가 갖추어야할 품종 보호 요건
4) 국가 품목 목록 등재 대상 종자의 품종 성능검사 기준
① 심사종류 : 서류심사, 재배심사(2년)
② 재배시험지역 : 최소 3개지역
③ 표준품종 : 선정기준(잘 알려지고, 널리 재배되고 있어야 한다. 형질발현의 안정적, 형질에 대한 조사자료 확립,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한다)
④ 평가기준 : 기본특성(표준품종과 유사 또는 우수), 추가특성(대상특성에 따라 표준품종과 유사, 우수)
⑤ 평가형질 : 기본특성(수량성) 추가특성(품질, 주요 내재해성, 주요 내병충성 등)
5) 포장검사 및 종자검사의 용어
① 정립
- 이종종자, 잡초종자 및 이물을 제외한 종자
- 병해립, 미숙립 발아립, 주름진립, 소립, 원래크기의 1/2이상인 종자쇄립, 목초나 화곡류의 영화가 배유를 가진 것
- 병해립 중 맥각병해립, 균핵병해립, 깜부기병해립 및 선충에 의한 충영립은 제외한다.
② 이종종자 : 대상작물 이외의 다른 작물의 종자
③ 이물
정립이나 이종종자로 분류되지 않는 종자구조를 가졌거나 종자가 아닌 모든 물질로 다음의 것을 포함.
- 원형의 반 미만의 작물종자 쇄립 또는 피해립
- 완전 박피된 두과종자, 십자화과 종자 및 야생겨자종자
- 작물종자 중 불임소수
- 맥각병해립, 균핵병해립, 깜부기병해립, 선충에 의한 충영립
- 배아가 없는 잡초종자
- 회백색 또는 회갈색으로 변한 새삼과 종자
- 모래, 흙, 줄기, 잎, 식물의 부스러기, 꽃 등 종자가 아닌 모든 물질
④ 피해립
발아립, 부패립, 충해립, 열손립, 박피립, 상해립, 기계적 손상립으로 이물에 속하지 아니한 것
⑤ 이형주(off type) : 동일품종내에서 유전적 형질이 그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갖지 아니한 개체
⑥ 잡초종자 :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잡초의 괴근, 잡초의 괴경, 잡초의 종실 (이물질제외)
6) 종자검사 기준
① 벼 종자의 병해
㉠ 특정 병 : 키다리병, 선충심고병
㉡ 기타 병 : 도열병, 깨씨무늬병
② 보리 종자의 병해
㉠ 특정 병 : 겉·속 깜부기병, 보리줄무늬병
㉡ 기타 병 : 붉은곰팡이병
③ 콩 종자의 병해
㉠ 특정 병 : 자주빛무늬병[자반병]
㉡ 기타 병 : 모자이크병, 세균성, 점무늬병, 잎마름병, 탄저병
(7) 종자의 발아검사
1) 발아율, 발아세, 발아능, 순도
① 발아율 : 종자 품질 결정시 가장 중요한 인자
- 발아시 : 최초의 1개체가 발아한 날
- 발아기 : 전체 종자의 50%가 발아한 날
- 발아전 : 대부분(80%이상)이 발아한 날
② 발아세 : 일정한 시일내의 발아율
③ 발아능 : 종자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표시하는 용가, 즉 포장에서 종자의 파종량 결정에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용가(효율)
2) 발아력 검정법
① 구아이아콜법 : 발아력이 강한 종자는 배 및 배유의 단면과 주가액이 갈색으로 변한다. 죽은 종자는 변색반응을 보이지 않는다.
② 테트라졸륨법(TTC용액,적색염색->발아력강하다)
③ X-선조사에 의한 방법,
④ 지베렐린과 티오요소의 혼합액에 의한 발아 검정법,
⑤ 절단 검사법
⑥ 전기전도도 검사법 : 전기전도도가 높으면 활력이 낮은 것으로 이 방법은 완두와 콩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.
- 벼 종자 검사 기준의 발아율(85%) 수분비율 (14%) ==> 옥수수(70%), 보리,콩,밀(85%이상)
- 보증종자의 사후관리 시험 검사항목(품종의 순도(판단할 수 없을 시 전기영동검사), 품종의 진위, 품종의 전염병)
- 채소작물의 포장검사시기 및 회수 : 개화전 및 개화후 각각 1회
- 일대 종자의 채종시 제웅, 피용, 인공수분의 번거로움을 없애기위해 할 수 있는 방법
=> 웅성불임개체를 유기하여 종자친과 화분친을 교호로 심는다
3. 채종
(1) 품종 : 유전성, 균일성, 영속성
(2) 채종재배 : 우수한 종자를 생산 목적한 재배
종자의 선택 및 처리 →채종포의 선정 →재배조처 →수확 및 조제 →건조․저장 - 종자의 선택 및 처리 : 원종포에서 생산된 종자 - 채종포의 선정 : 감자(고랭지),옥수수,십자화과(격리포장),벼․맥류(과도하게 비옥하거나 척박한 토양 피함) - 재배조처 : ①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지 말고 균형시비 등을 실시 ② 지나친 밀식을 회피하여 도복·병해를 막는다. ③ 균일하고 건실한 결실을 유도한다. ④ 1주씩 점파하면 이형주 도태에 극히 편리하다. ⑤ 합리적인 비배관리와 철저한 병충해 방제를 실시 |
(3) 각 작물의 채종방법
1) 자가수정작물의 채종 ( 토마토, 가지, 상추, 완두 )
① 토마토·가지는 잡종강세유종법으로 육성
② 자가수정 작물에 많이 이용되는 육종 : 분리육종, 계통육종법
2) 타가수정작물의 채종
① 박과, 십자화과, 산형화과의 채소 및 1~2년생 화초의 대부분이 속한다.
② 십자화과 자가불화합성, 당근은 웅예선숙, 박과는 자웅이화, 시금치·삼·아스파라거스 등은 자웅이주의해 타가수정.
③ 무 채종포에서 인접해서는 안 되는 것 : 당근
3) 영양번식 작물의 채종
① 무성번식 : 감자, 고구마
4) 1대잡종의 채종
① 1대 잡종 이용 : 옥수수, 수수, 해바라기, 가지, 고추, 토마토, 오이, 호박, 양배추, 배추
이유 : 다수성 품질 및 형상의 균일성, 강건성 및 강한 내병성 때문
② 1대 잡종(F1) 종자 채종시 3가지 방법과 해당 작물
- 인공교배 이용 : 수박, 호박, 멜론, 참외, 오이, 토마토, 가지, 피망 ⇒ 열매채소
- 웅성불임성 이용 : 당근, 상추, 파, 양파, 고추, 쑥갓, 옥수수, 벼, 밀
- 자가불화합성 이용 : 무, 양배추, 배추, 브로콜리, 순무 ⇒ 뇌수분 육종법 이용
☞ 뇌수분 - 수분이 되자 않는 작물끼리 강제로 수분시키는 방법, 회기가 완전히 성숙되지 않았을 때 하는 방법.
(4) 인공수분과 교잡
1) 접합자 : 수정된 난핵이 배주머니의 세포질의 일부와 함께 세포막으로 둘려싸여 이루어진 것
2) 인공종자 : 교배하지 않고, F1종자 대량생산, 영양번식하는 식물을 종자로 만들 수 있다. 인공종자내에 생장조절물질이나 농약을 집어 넣을 수 있다.
※. 종자 코팅
① 필름코팅
- 친수성 중합체에 농약이나 색소를 혼합하여 종자 표면에 5~15μm 정도로 얇게 덧씌워주는 것이다.
- 필름코팅의 주된 목적은 농약을 종자에 분의처리 하였을 때 농약이 묻거나 인체 해를 주기 때문에 이르 방지하기 위함이며, 색을 첨가함으로써
종자의 품위를 높이고 식별을 쉽게 하는데 있다.
② 종자코팅
코팅의 크기를 필름코팅보다 약간 크게 한 처리로서, 농약이나 양분을 첨가할 수 있다.
③ 종자펠릿(단립, 과립)
- 담배 같이 종자가 매우 미세하거나, 당근 같이 표면이 매우 불균일하거나, 참깨 같이 종자가 가벼워서 손으로 다루거나 기계파종이 어려울 경우에
종자 표면에 화학적으로 불활성의 고체물질을 피복하여 종자를 크게 만드는 것이다.
- 펠릿 종자는 파종이 용이하고, 적량 파종이 가능하여 솎음노력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종자대와 솎음노력비를 동시 절감할 수 있다.
- 펠릿시 종자에 근권정착미생물(PGPR)의 첨가로 토양 및 종자 전염성병의 방제효과도 있어 농약사용을 줄일 수 있다.
3) 가지의 화기구조 : 양성화
4) 채소작물의 포장격리
작물명 |
격리거리(m) |
작물명 |
격리거리(m) |
무 |
1000 |
고추 |
500 |
배추 |
1000 |
토마토 |
300 |
양배추 |
1000 |
오이 |
1000 |
양파 |
1000 |
참외 |
1000 |
당근 |
1000 |
수박 |
1000 |
시금치 |
1000 |
파 |
1000 |
5) 웅성불임 계통 유지방법 : 웅성불임계통과 유지친 교배하여 얻는다
6) 웅성불임 작물 : 무, 고추
7) 교잡방지 위한 방법 : 복개법, 격리법, 화판제거법
8) 고정종 : 타가수정 작물에 있어서 짐단선발법에 의해 육성되는 방임수분품종
9) 채종방법 : 잡종강세(배추,토마토,가지), 자가불화합성(십자화과), 웅예선숙(당근), 자웅이화(박) 웅성불임(무,고추), 자웅이주(시금치,아스파라거스)
10) 1대 잡종 : 다수성, 품질 및 향상의 균일성, 강건성 및 내병성
(5) 채종포 관리
1) 채종체계
기본식물포 |
→ |
원원종포 (50%) |
→ |
원종포 (80%) |
→ |
채종포 (100%) |
→ |
시판종자 |
|
기본식물종자 (농업진흥청) |
|
원원종 (도농업기술원) |
|
원종 (도원종장) |
|
보급종 (종자공급소) |
|
2) 우량종자 : 원원종, 원종, 보급종
① 원원종 : 도농업기술원에서 생산, 품종 고유의 특성을 보유하고, 종자의 증식에 기본이 되는 종자
② 원원종포는 이품종으로부터 3m 격리
③ 채종포는 이품종으로부터 1m이상 격리
4. 종자의 발아, 휴면, 수명
(1) 종자발아
1) 종자발아의 주요과정 : 흡수(수분흡수 직후 무기호흡) →저장양분의 분해 →양분의 전류 → 동화 →호흡 →생장
2) 발아에 미치는 환경요인(외적요인)
① 수분과 발아
㉠ 종자의 수분흡수량은 종자 중량에 벼 23%, 쌀보리 50%, 밀 30%, 콩 100% 정도이다.
※ 대체로 종자무게에 대하여 벼와 옥수수는 30% 정도이고 콩은 50% 정도로서, 전분종자보다 단백질종자가 발아에 필요한 최소수분함량이 많다.
㉡ 종자의 수분흡수와 발아
- 종피의 수분 흡수 → 팽연 → 배, 배유, 자엽이 수분을 흡수 팽창 → 종피 파열
- 수분흡수된 종피로 가스교환 용이, 산소가 내부로 공급, 호흡작용 활발, 이산화탄소의 배출
- 수분흡수된 내부세포의 원형질의 농도 저하, 각종 효소의 활성증대, 저장물질의 전화 및 전류
- 생리작용이 활발 → 종자의 생장
㉢ 발아촉진 물질 : KNO3, thiourea, ethylene
㉣ 온탕처리 : 종자소독과 발아촉진 시킨다.
② 온도와 발아
㉠ 저온발아 - 셀러리, 당근
㉡ 변온에서 발아촉진의 작물 : 가지, 셀러리
㉢ 배추, 양배추(발아적온 > 결구적온)
③ 수중에서의 발아
㉠ 수중에서도 발아에 이상 없는 종자 - 상추, 당근, 셀러리, 티머시, 벼
㉡ 수중에서 발아 감퇴되는 종자 - 담배, 토마토, 화이트크로버, 카네이션
㉢ 수중에서 발아 못하는 종자 - 콩, 무, 양배추, 가지, 고추, 파, 페레리얼 라이크라스, 귀리, 밀
④ 광(빛)과 발아
㉠ 호광성 종자 ; 담배, 상추, 뽕나무, 베고니아, 피튜니아, 화본과 목초, 티머시종자, 셀러리
㉡ 혐광성 종자 : 토마토, 가지, 호박, 오이류, 파
㉢ 광무관 종자 : 화곡류, 두과작물, 옥수수
3) 발아의 형태
① 지상발아(주로 쌍떡잎 식물) ⇒ 강낭콩, 콩, 녹두, 오이
- 콩과 식물이나 소나무 등의 발아 형태
- 발아 중에 떡잎은 지면 밖으로 나와 생장점에 양분을 공급하고, 뿌리가 성장하는 동안 하배축은 아치형으로 신장하여지면을 뚫게 되며, 떡잎과 떡잎 내에 있는 유아
(상배축)는 지면 밖으로 끌려나오게 된다.
② 지하발아(주로 외떡잎식물) ⇒ 잠두, 완두, 팥, 스위트피
- 완두나 팥의 대부분 화본과 식물의 종자 발아형태
- 발아 중에 씨방이나 또는 떡잎처럼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기관은 지하에 남아 있게 되고, 유아는 대신 지상으로 출현하는 것.
- 지하발아의 경우 상배축(유아)이 신장하는데 반하여 지상발아의 경우에는 하배축이 급속도록 신장하는 것이다. 유아를 일시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초엽은 많은 식물
에서 지하발아와 관계가 있으며, 유아가 딱딱한 지면을 뚫고 나오는 동안 유아를 보호 해 주는 역할을 한다.
4) 종자의 저장과 발아와의 관계
① 저장 중의 종자가 발아력을 상실하는 이유
- 종자의 원형질단백의 응고
- 활력저하 및 호흡에 의한 저장양분의 소모
② 종자의 수분함량, 저장습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, 저장온도와 통기상태(산소)가 관여한다.
③ 종자의 수분함량과 건조온도 : 젖은 종자는 저온, 마른 종자는 고온에 건조.
5) 무 종자의 발아와 광선 : 발아적온(25℃), 휴면타파처리에 의해 감광성 소실, 채종직후 저온에서 혐광성 뚜렷하다
6) 배추 종자의 발아와 광선관계 : 휴면기간 중에는 호광성, 감광부위(종피), 휴면기간(1년 6개월)
(2) 휴면
1) 자발적 휴면 원인 :
① 종피의 불투수성(연,고구마)
② 종피의 불투기성(귀리, 보리)
③ 종피의 기계적 저항
④ 배(胚)의 미숙
⑤ 저장물질(胚乳)의 미숙
⑥ 발아억제물질 존재
⑦ 발아촉진물질(生長素)의 부족(땅콩)
2) 휴면에 관련된 호르몬
① ABA - 휴면, 낙엽
② 목본식물의 눈의 휴면과 관련 : dormin
③ 항옥식(coumarin), 항지베렐린(dormin)
3) 휴면타파와 발아촉진
① 경실의 발아촉진법
㉠ 경피파상법(씨껍질에 상처를 낸다)
㉡ 농황상처리 : 씨고구마 시간, 씨감자 20분, 레드클로버 15분, 화이트클로버 30분
㉢ 저온처리 : 알팔파종자를 -190℃의 액체공기에 2~3분간 침지하여 파종시 발아 조장됨.
㉣ 건열처리 : 알팔파, 레드클로버 등은 105℃에서 4분간 침지하여 파종하면 발아 조장됨.
㉤ 습열처리
㉥ 진탕처리
㉦ 질산염처리
② 화곡류의 휴면타파와 발아촉진
㉠ 수도종자 : 40℃에 3주일 정도 보존 발아억제물질 불활성화
㉡ 맥류종자 : 0.5~1%의 H2O2 용액에 24시간 정도 침지 --> 5~10℃의 저온에 보관(종피의 불투기성 제거)
㉢ 감자의 휴면타파와 최아
- 감자를 절단해서 2ppm 정도의 지베렐린 수용액에 30~60분간 침지하여 파종하면 가장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휴면이 타파된다.
- 에스렐, 에틸렌 클로로하이드린 등의 처리와 박피절단법 등도 효과가 있다.
㉣ 화본과 목초종자의 휴면타파와 발아촉진 : Brome-grass, Wheat-grass등의 휴면기간이 긴 것 --> 파종전 질산염류액이나 지베렐린 수용액 처리
4) 종자의 수명 :
① 단명종자(1-2년) : 고추, 양파, 메밀, 토당귀
② 상명종자(2-3년) : 벼,완두, 목화, 쌀보리
③ 장명종자(4-6년) : 콩, 녹두, 오이, 배추, 가지, 담배, 수박, 잠두
(5) 종자퇴화
1) 원인
① 유전적 : 이형유전자의 분리, 자연교잡, 돌연변이, 이형종자의 기계적 혼입
② 생리적 : 불리한 생산지 환경․재배조건
③ 병리적 : 종자로 전염하는 병해, 바이러스병
2) 대책
① 유전적 퇴화방지 : 자연교잡방지(격리재배), 이형종자 혼입 막기(낙수(落穗)의 제거, 채종포 변경, 수확 및 조제시 주의, 완숙퇴비시용)
② 생리적 퇴화방지 : 재배시기 조절, 비배관리의 개선, 착과수의 제한, 종자선별
③ 병리적 퇴화방지 : 무병지에서 채종, 종자소독, 이병주(罹病株) 및 이병수(罹病穗)의 철저한 제거
'전공 농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RIPs Agreement (2005 여름), Tamiflu (2005.10) (0) | 2015.04.07 |
---|